케이블 방송 4개 통신사 tv 요금 비교해 봤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네랄통신 댓글 0건 조회 371회 작성일 22-10-13 20:07본문
케이블 방송 4개 통신사 비교해 봤는데요 일단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됐던 점은 케이블 방송의 경우 설치 가능한 지역에 제약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딜라이브의 경우는 서울과 경기권에서만 가능했고 현대 HCN은 부근 부근 가능했고 티브로드도 많은 지역에서 가능했는데요 그중에서는 스카이라이프의 경우에는 지역 제한 없이 가능했어요. 아무튼 이렇게 비교를 하면서 느낀 점은 채널 개수에 따라서 가격 차이의 변동이 심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제가 비교했던 부분을 통신사 별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1. 스카이라이프


스카이라이프의 베이직 TV 채널부터 보자면 7,700원의 가격에 208개의 채널을 시청할 수가 있었어요 채널 부분과 가격만 놓고 봤을 때는 정말 다른 통신사도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가격 장점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그 반면에 단점으로는 날씨가 안 좋거나 하는 경우 끊기는 등의 불편도 조금씩 있었습니다. sky all 요금제는 베이직에 대비해서 29개 채널이 많은데 가격은 5,500원 더 비싸더군요 꼭 시청해야 되는 tv 채널이 없는 경우 그냥 베이직을 이용하는 게 좋았습니다. 그 이후 요금제부턴 vod 포인트를 제공해 주고 가격이 높은 부분이었습니다.
2. 티브로드


티브로드의 경우 알뜰 100 상품과 알뜰 200 상품으로 상품 구성이 비교적 간단했습니다. 알뜰 100은 108개 채널에 9,900원, 알뜰 200은 222개 채널에 12,100원이었습니다. tv를 많이 보는 경우 가격 차이가 얼마나지 않기 때문에 알뜰 200 상품의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여기에서 다른 통신사와 차별화될 수 있었던 부분은 와이파이였습니다. 차고로 티브로드 tv 와이파이는 성능은 좋았습니다. tv 와이파이 주제에 느린 속도는 아니었습니다. 가격은 16,500원이었습니다.
3. 딜라이브


딜라이브의 경우 가장 낮은 채널이 100개 알뜰 실속형 상품의 채널에 가격은 7,700원이었습니다. 180개 채널 패밀리는 12,100원이었고 240개 채널 프리미엄 플러스는 14,300원이었습니다. tv 시청하는 경우가 낮은 경우라든지 많이 안 본다면 100개 채널이 좋았고 다양한 채널과 음악 채널을 원한다면 240개 채널로 선택하면 좋았습니다. 단점은 설치 가능한 장소가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만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4. 현대 hcn


hcn의 장점은 채널 구성이 다양하다는 점입니다. 많은 채널 중에서 나한테 알맞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65개 채널을 제공해 주는 패밀리 상품은 6,600원부터 시작해서 모든 통신사를 통틀어서 가장 저렴했습니다. 패밀리 플러스 상품은 108개 채널에 8,800원이었고 이제 실버, 골드 상품이 hd와 uhd 나누어지는데 자신의 집에 uhd tv를 사용하고 있다면 uhd 상품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았습니다. 이유는 그 편이 tv 품질에 좋았습니다. hd tv라면 둘 중 아무거나 상관없이 tv 화질이 좋았습니다.
이렇게 4개 통신사 케이블 방송 tv 요금을 비교해 봤는데요 각 각의 통신사마다 장점과 단점이 존재했습니다. 먼저 스카이라이프의 경우에는 전국에 모든 지역에서 설치 가능하면서 채널이 200개가 넘는데도 7,700원으로 가장 가성비가 좋았고요 딜라이브의 경우에는 ott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었습니다. 티브로드의 경우에는 tv 셋톱박스에서 무선으로 와이파이를 연결해 주는 와이파이가 가장 강점이었고 hcn의 경우에는 다양한 채널 군의 상품이 가장 강점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 같았다면 내 지역에 따라서 선택하는 통신사가 틀렸을 것 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